한국의 우회전은 신호 없이 우회전이 가능합니다. 직진차량에 영향을 주지 않는 한도 내에서 눈치것 우회전 하는것이 되기 떄문에 한국에서 온 운전자가 독일에서 가장 많이 착각 하는것이 바로 우회전 입니다. 

 

독일에서는 우회전도 신호를 받고 가야 합니다. 직진신호 가 우회전 신호 입니다. 즉 직진과 우회전은 동시 신호 인셈이죠 

 

사거리 교차로 에서는 우회전 차량도 무조건 정지 해서 눈앞에 신호등이 녹색이 될때 까지 기다립니다. 그리고 녹색이 되었다고 해서 무조건 우회전 하는것도 아닙니다. 독일의 거리에는 십중팔구는 자전거 길이 인도 옆에 있습니다. 빠르게 진입해오는 자전거를 먼저 보내줘야 합니다. 

 

보통 직진 신호등이 켜지면 진행방향의 횡단보도 파란불도 켜지기 떄문에 우회전 하는 차량의 우선순위가 제일 나중이 됩니다. 즉 보행자 가 파란불에 건너고 자전거도 따라 건너고 나서 길이 비어지게 되면 우회전 차량이 우회전하게 됩니다. 

 

이런 경우도 있습니다. 직진신호와 동시에 우회전이 되는교차로 가 아닌경우 우회전 신호가 별도로 화살표로 표시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경우 붉은신호 라 해도 화살표 신호가 들어오는 즉시 우회전 합니다. 

 

자 이런경우는 어떨까요? 아까와는 다르죠 ... 위에서는 녹색 방향지시등이 신호등이였다면 지금 보고 있는 사진은 녹색방향지시표가 프라스틱 표시판입니다. 이건 뭘까요? 

 

교차로 앞에서 3초 정도 서있으면서 왼쪽에서 오는 차량을 살핀뒤 바로 우회전 하라는 표지판 입니다. 

 

자 이젠 더 어려운 좌회전 입니다. 

 

독일은 일반적으로 좌회전 신호가 없습니다. 따라서 좌회전 차량도 직진신호를 기다리다가 신호가 떨어지면 좌회전 차량은 교차로의 중앙에서 대기 하는것이 먼저 입니다. 이윽고 반대쪽 직진차량이 다 지나가고 난뒤에 좌회전 합니다. 

 

한국에서 운전 하시다가 오신분들이 우회전 뿐 아니라 좌회전에서도 애를 먹는게 바로 이부분 입니다. 도로 중앙을 점유 하고 있다가 좌회전 하는 모습을 보고 그러다가 신호가 빨리 떨어져서 반대쪽 교차로 차량이 오기라도 하면 충돌 하지 않을까 불안하고 걱정이 됩니다. 

 

 

사거리 한복판에 좌회전 대기를 위해 길막 (?) 하고 있는 모습 ( 사진 출처 구글지도)

위에 사진은 직진 신호가 떨어진 직후 의 모습입니다. 오른쪽에 차가 막 교차로를 통과 하여 직진 하고 반대방향 차도 동시에 직진을 합니다. 붉은 색원안에 차는 좌회전 할 차이므로 교차로 한복판에 그냥 길막 하고 서있는 상황이지요.. 

 

다음 장면을 상상해 봅시다. 직진 차량이 다 제갈길 가고 나면 좌회전 대기 중인 붉은색 원안의 차는 좌회전 해서 제갈길 가면 됩니다. 

 

 

이미지 출처 구글 지도 

이제 연습을 해볼까요 ? 위에 사진은 전형적인 독일의 신호등 없는 사거리 입니다. 대도시 한복판의 사거리 임에도 불구하고 왕복 2차선인 경우가 흔합니다. 우선 보이는 표지판이 많지만 가장 가까운 거리에 보이는 표지판 부터 읽어보죠 원형 표지판에 붉은색 X 표가 있네요 .. 화살표 방향으로 절대 주차 안된 다는 표지판입니다. 그뒤에 보이는 마름모 꼴에 흰색바탕에 노란색 다이아몬드 형태의 표지판은 이 길의 우선권 표지판이고요 .. 그뒤 사거리 너머에 보이는 4개의 표지판은 모두 동일하게 보행자 건널목이 있다는 표지판이네요 .. 

 

이 길에서 좌회전을 해야 한다면 어찌 할까요?  먼저 중요한것은 교차로 우선권 표지판 입니다. 내가 진행하는 방향이 우선권이 있으니 좌회전 할때 내 오른쪽에서 오는 차량보다 내가 더 우선 하겠죠 .. 하지만 반대방향에서 오는 차량역시 나와 동일하게 우선권을 가지고 있으니 반대방향에서 오는 차량을 피해서 좌회전 하면 됩니다. 

 

그럼 우회전은 될까요? 예 우회전도 됩니다. 금지 하는게 없으니까요 .. 물론 자전거 길은 반드시 살피고 가야 됩니다. 

 

이미지 출처 구글 지도 

자 여긴 어떨까요? 붉은 색 원안에 정보가 담겨 있습니다. 큰원안에는 아래서 부터 이길의 우선권표시판 그리고 그위에는 좌회전과 직진이 가능하다는 표지판 이 있네요 그럼 우회전은?  일단 좌회전과 직진만 된다는 표지판으로도 우회전은 안된다는것을 알수 있지만 두번째 붉은 원안에 답이 있습니다. 예 .. 저표시는 일방통행로의 끝을 알려줍니다. 진입하지 말라는 예기죠 즉 이길은 우회전 할수 없습니다. 

 

 

독일에서 운전을 하고자 할때 교차로에서의 통행 우선권 을 아는것은 매우 중요한데 보통 한국에서 바로 면허증을 바꿔 운전 하는 사람들은 이런 규칙들을 전혀 모르거나 혹은 알아도 막연히 아는것에 불과 한데 이기회에 정리 하길 바랍니다. 

 

1. 교차로에 표지판이 없을때

 

교통신호가 없는 교차로 에서 어떠한 표지판도 없을때  무조건 오른쪽길에서 오는 차량이 우선권을 갖습니다. 

 

사거리에서 아무 표시 없을때 오른쪽에서 진입하는 차가 없으면 그냥 통과 
만약 오른쪽에서 차가 온다면 오른쪽에서 오는 차량이 교차로 우선 진입권을 갖습니다. 
오른쪽 차량이 통과 하고난 뒤 내가 지나갈수있습니다. 

그러니깐 보통 골목길 교차로에서는 직진차량 우선이 아니라 오른쪽 차량이 우선권을 가집니다. 만약 오른쪽 진입 차량을 무시하고 교차로에 진입 해서 사고가 난다면 전적으로 직진차량이 잘못입니다.

 

2. 교차로에 표지판이 있을때 

교차로 우선권 관련 중요한 표지판 들 

위에 소개한 4개의 표지판은 교차로 상의 우선권에 관련된 표지판 입니다. 

 

첫번째 붉은 역삼각형이 교차로 앞에 서 있다면 내차는 교차로 통과시 좌우를 살피고 통과 하려는 차량이 없을경우 서서희 교차로를 통과 할수 있다는 표시판입니다. 따라서 우선권이 없습니다. 

두번째 STOP 사인 역시 비슷합니다만 STOP 표지판 앞에 실선에 차를 정차 시켜야 합니다. 차를 완전히 정차 시킨뒤 좌우에 통과하는 차량이 없을경우에만 교차로 진행이 가능합니다. 

세번째 표지판은 반대로 교차로 통과시 나에게 우선권이 있음을 알려줍니다. 다음 교차로 또는 다음 합류점에서 나는 좌우 에 진입하는 차량 보다 우선권이 있읍니다. 이경우 오른쪽 우선 규칙은 무시됩니다. 

네번째 표지판은 우선권이 있는 길위에 내가 있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이 표지판이 있는 길을 갈때는 항상 나에게 교차로 통과 우선권이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이표지판이 있는 교차로 에서는 오른쪽 우선 규칙이 무시됩니다. 

 

 한국에서는 먼저 진입하는 차량이 우선이라는 식의 교통규칙이 존재 합니다. 따라서 이런 규칙이 있는한 교차로에서 누구라도 먼저 진입 하려 시도 하게 됩니다. 만약 독일에서 우측차량에게 받치는 사고가 났다면 경찰이 30분 후에 오건 블랙박스가 있건 없건 간에 무조건 당신이 잘못한 것입니다. 반대로 교차로에 당신이 우선권이 있는 길에서 우측을 들이받치는 사고 가 나면 당신이 잘했고 상대방이 잘못한것입니다. 따라서 독일에서 운전 하려면 무조건 도로 표지판을 제대로 보고 다녀야 합니다. 

 

지금까지 배운 규칙을 다 적용한 동영상을 하나 소개 합니다. 말을 못알아 들어도 그림만 봐도 쉽게 이해 될겁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P8s4ibn4d-U

3. 교차로에 신호등이 있을때 

 

신호등만 준수 하면 됩니다. 좌회전 우회전은 약간 한국과 다른데 다음편에 설명 하겠습니다. 

600 통행금지 표지판에 붙는 위험 신호 

600-60 진입금지 위험신호 

605 장애물 건설현장의 비콘 

610  장애물 , 건설현장의 경고 비콘 

615 공사 안내 장애물 안내 

616 화살표가 깜빡이는 이동식 차단 안내판 

620 가이드 포스트 ( 좌우 ) 안개 , 눈 그리고 어둠에서 가이드 포스트는 헤드라이트 빛을 산란시켜 도로안전에 중요한 역활을 담당 

625 커브 방향 표시 

626 안내판 , 교통 위험 지역에 시선집중용 

627  터널 입구 다리 근처에서 특정 간극 이나 폭에 대한 주의를 요할때 

628 이동식 공사 주의 판 

629 이동식 공사 주의 판 

448 고속도로 출구 표지판 

zu 448 고속도로 교차로 고속도로 출구 표시판 

448.1 고속도로 출구 근처 주차장 안내 표시판 

449 고속도로 출구 사전 안내판 

450 고속도로에서의 거리 안내판 

453 고속도로 거리 표시판 

454 우회 도로 표시판 (건설 현장과 같이 접근이 금지되거나 접근이 금지 된 지역을 통행하는 경로 )

455.1  우회 도로 표지는 gesperrt ( 폐쇄 ) 표지판과 비슷한 시기에 나온다. 

455.2 우회도로의 종료 

457.1 우회도로 시작점 

457.2 우회도로 종료점 

 

우회로를 통해 돌아가도록 명시 하고 있다. 

458 도로에 문제가 있으므로 돌아갈것을 미리 알려주는 표시

460 우회 로가 있음을 미리 알려주는 표시판 

466 추가 우회로 안내판 

467.1 고속도로의 우회 진입이 필요 할때 대체 경로 의 시작 점 

467.2 고속도로의 우회 진입이 필요 할때 대체 경로 의 종료 점 

501 고속도로가 공사중일때 공사구간을 우회 하는 도로 의 안내 

505 좁은 차선으로 공사중인 구간을 우회 하게 될것을 안내 

514 양방향 좁은 교차 구간 

531  차선종료 ( 좁아짐 ) 

545 속도 확장 구간 안내 

551 교통 병목 지점 ( 병합 지점 ) 

590 좌회전 금지 , 블록 우회로 이용 

390 통행료 부과 구간 ( 화물차 만 ) 

390.2 통행료 부과 구간 해제 

391 유료 도로 

392 세관 

393 국경 지역 표시판 

394 랜턴링 ( 밤새도록 길을 밝히는 가로등 에 표시된 표시판 ) 실제 쓸모없음 

401 연방 고속도로 번호판 

405 고속도로 번호판 

406 고속도로 교차점 표시판 

410 유럽 도로 표시판 

415 연방고속도로 이정표 

418 국도 이정표 

419 소도로 이정표 

 

421 특정 교통수단의 방향 안내표 

422 특정 교통수단의 고속도로 안내표 

430 고속도로 이정표 

432 교통상 중요 목적지에 대한 표지판 

434 중요 목적지에 대한 거리 방향 안내 표지판 

437 거리 이름 표지팜 

438 고속도로 외부의 안내판 

439 고속도로 외부의 방향 안내판 

440 고속도로 이정표 

442  특정유형의 트래픽에 대한 사전통지 안내판 ( 자전거는 오른쪽으로 이동 ) 

365-50 전화 

365-51 긴급전화 

365-52 주유소 

365-53 주유소 LPG 

365-54 천연가스 주유소 

365-55 고속도로 호텔 

365-56 고속도로 모텔 

365-57 고속도로 휴게소 

365-58 화장실

365-60 캠핑 및 캐러반 사이트 

365-61 관광 사무실 또는 안내소 

365-62 고속도로 수리소 정비소 

365-63 보행자 지하도 

365-65 전기차 충전소 

365-66 수소차 중전소 

365-68 캠핑카 카라반 사이트

 

 

385 지역 알림 표지판 ( 지역명 이 들어감 ) 

386.1  여행자를 위한 지역명 안내판 ( 색깔 이 다름 ) 

386.2  지역 관광루트 안내판 

386.3 여행자 정보 게시안내판 

331.1 자동차전용도로 시작 

331.2 자동차 전용도로 종료 

332 고속도로의 지역명 출구표시 

332.1 국도 의 지역명  출구표시 

333 고속도로의 출구 표시 

333.1 국도 출구표시 

340 가이드 라인 표시 

341 대기 라인 

350 횡단보도 

354 수질을 오염시키는 화물 을 금지 

356 교통 지도 지원 

357 막다른 골목 

357-50 자전거와 보행자는 통과 할수 있는 막다른 골목 

358 응급처지 표지판 

363 경찰 

310 장소 표시판 ( 장소 시작점 ) 

311 장소 표시판 ( 장소 종료점 ) 

314 주차가능 

314-50 지붕있는 주차장 

314.1 주차관리 지역 시작 

314.2 주차관리 지역 종료 

315 보도 주차 가능 ( 개구리 주차 허용 ) 

316 여기에 주차 하고 대중교통을 이용해서 여행하세요 ( 주차요금이 시내보다 쌈 ) 

317  등산객을 위한 주차 공간 

318 주차 디스크를 걸어두시오 ( 주차 시간 표시 ) 

325.1  방어운전 시작 지역 ( 안전운행 필수지역 ) 

325.2  방어운전 종료 지역 

327 터널 시작 

328 긴급 , 고장 갓길 표시 

330.1 고속도로 시작 

330.2 고속도로의 끝 

+ Recent posts